수원 팔달문(남문) 과 수원화성문화 관광안내소(매표소)-수원화성-
수원 팔달문(남문) 과
수원화성 문화 관광안내소(매표소).-수원화성-
수원화성 너무 아름다워
그림으로 스케치" 하다.
-흰날꽃별 -
2021.19.August.
수원 팔달문 (남문)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780(팔달로2가)
1964년 보물 제 402 호 .
지정 됐다.
수원화성의 남문으로
이 때문에 과거부터
팔달문 주변 교통 이나
팔달로 일대 남문이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팔달문으로
호칭하는 관계로
젊은 층은 보통 팔달문으로 부르고
나이 좀 있으신 분들은 남문으로
부르기도 한다.
조선의 22대 임금인
정조18년(1794년)에 정조의
부친 되는 사도세자의 원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이장할때
다른 수원화성 성곽과 함께
건립 되었다.
이름은 수원 서쪽에 위치한
팔달산에서 따 왔다.
원래는 문 좌우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어 남 공심돈 과 암문
그리고 남서/동적대가 있었지만
도로를 만들면서 헐어버려
지금은 성문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수원화성 복원 당시 성곽 연결
시키지 못한 몇 안되는 지역
성곽을 연결하여 완전 복원을
하려면 남문시장(팔달문시장)
일부를 부숴야 한다.
서쪽의 팔달산을 통해 성곽이
연결 된다.
그리고 서장대와 화서문으로
갈수 있다.
팔달문 2층 누상 에는
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 69호 로
지정된 팔달문 동종이 달려 있다.
종걸이는 음통이 없는 용두 뿐이고
상대에는 내부에 글씨를 넣은
수십개의 문양을 두줄로 나란히
돌렸으며 종신에는 이 종을 주조한
장소와 연대 유래 주조자들의
명문이 주자 혹은 각자 되어 있다.
하대에는 보상당초화문을 양주하여
돌린 고려의 전형적인 양식을 계승한
조선종의 형식을 하고 있다.
그리고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또 발달된 조선후기의
성문 건축 형태를 고루 갖추고 있는
문화재다.
그리고 현재 많은 사람들이
팔달문을 방문 하는 것중
또 하나는
이곳에는
재래시장과 수원에서 유명한
수원갈비와 통닭거리
가마솥 통닭.(진미. 용성. 일미)
통닭등
전문점 이 밀집 되어 있어서
오늘날 유명해 졌다.
수원화성 에는 문화관광
안내소(매표소) 가 다섯 곳이 있다.
1. 첫째로는
팔달문화 관광안내소.
수원 팔달문 남창동148-8.
(정조로777번길)
2.두번째는
팔달문 고객지원센터 관광 안내소
수원 팔달구 팔달로 2가 48-1.
(팔달로 9)
3.세번째로는
연무대 안내소
수원 팔달문 매향동3-10.
4. 네번째로는
화서문 관광 안내소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322-25.
(화서문로19)
5. 다섯번째는
수원 화성관광 안내소
수원 팔달구 고등동 42-139.
(팔달로 108)
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