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근 묘지가 있는 마을? 영원사 절도 있었다.
김좌근 묘지가 있는마을?
김좌근1797(정조21)~1869(고종6) 조선
조선후기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핵심인물
본관:안동 자:경은 호:하옥
연안 부원군 조순의 아들이고
순조비 순원왕후의 동생이다.
1825(순조25) 음보로 등용되어 부수
"상의원첨정" 을 지냈고
1838(현종4) 판관으로 정시문과 에
급제 부교리 이조판서.
한성부판윤. 대사헌. 병조판서.등등
1850(철종1) 우참찬 을 거쳐 총융사
금위대장 훈련대장 군권장악 했으며
안동 김씨 세도정치 충추적 인물.
10여년이상 영의정에 3번 보직되었다.
1862.임술민란을 수습하기위해
설치된 삼정이정청 의 총재관 을 맡았다.
1864.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실권을 장악하자 영의정 에서 물러나
실록 총채관으로 "철종실록" 에
참여 한뒤 영돈녕으로
1866. 기로소에 들어가
시호는 충익 이다.
영원사
경기도 이천 백사면
송말리 원적산 에있는 절.
1825(조선순조25)
인암치감이
김조순의 희사로 창건.
영원암.이다
* 경기도 남한산성 밖에 있었던 절.
* 동두천 소요산에 있던절.
지재암의 옛이름.
* 칠보산에 있었던 전라북도 정읍
* 경상도 햠양군 마천 삼정리 지리산
에 있는절 영원암.
여원 조사 창건
부용.청허. 청매 세스님이 있었고
불타고1665년 계탄
중건 1914 년
불타고 금파 남파 포광.초얼등 중권.
김좌근 묘지가 있는마을.
많은 분들이 동행하다 보니
묘지도 못가보고 먼 발치에서 보기만 했다
멀리보이는 뒷동산에 있다는
다음 기회가 되면 꼭 가보기로하고
김좌근 묘지가있는 얼마 떨어지지 않은곳에
영원사라는 절도 있어 잠시
들러 보았다.
영원사도 도선사처럼 기도에 신비스러운
영험이 있다고 한다.
절은 작아 보이는데도 많은 사람들로
승용차들이 즐비하여 교통도 바비가 되었다.